사.람.들..
가정부와 사랑에 빠진 화가 '렘브란트'
타라
2013. 10. 26. 08:07
17세기 네덜란드 화가로 '종교화'나 '초상화'를 많이 그린 렘브란트(Rembrandt)는 그 이름만으로 무척 유명한 예술가이다. 뛰어난 작품을 많이 남긴 그는 한 때 풍족한 생활을 누리기도 했으나, 그 말년의 삶은 심히 비참했다고 전해진다. 20대 후반에 아내 '사스키아'를 얻은 렘브란트는 그 시기에 무척 잘 나갔으며 그녀와의 사이에서 아들도 얻었지만, 얼마 못 가 사스키아는 죽게 된다.
그 후 렘브란트가 아들 '티투스'를 양육하기 위해 과부인 '헤르트헤 다르크'를 보모로 고용했고 나중엔 그녀와 사실혼 관계에 들어갔으나, 렘브란트 쪽에서 '결혼' 생각은 없었다. '아들의 유모'와의 동거로 사회적 명성에서 흠집이 나고 헤르트헤와 이런 저런 갈등을 겪던 렘브란트는 결국 그녀와 결별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헤르트헤가 '혼인 불이행'에 대한 소송을 걸었고, 법원에선 렘브란트(Rembrandt)에게 '매년 헤르트헤에게 별거 수당을 지불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 때부터 서서히 '경제력'에 타격 입고 운이 기울기 시작한 렘브란트.. 그 다음 '보모 겸 가정부'인 '헨드리키에 스토펠스'와 또 사랑에 빠졌고 그녀와의 사이에서 딸도 낳았지만, 죽을 때까지 '정식 결혼'은 하지 않았다. 렘브란트가 헤르트헤나 헨드리키에와 재혼하지 않은 것은 아들 '티투스'에게 물려줄 유산 때문이었던 듯하다. 부유한 집안 출신으로 많은 재산을 갖고 있었던 아내 '사스키아'가 죽기 전, 만일 자신이 죽으면 '재혼하지 말고, 그 유산을 아들 티투스에게 넘기라'는 유언을 남겼으므로...
비록 정식 혼인은 하지 않았지만, 렘브란트를 진심으로 사랑한 '헨드리키에 스토펠스(Hendrickje Stoffels)'는 그의 아들 '티투스'를 정성껏 양육했고 때론 렘브란트의 그림 모델이 되어주기도 하면서 정성껏 내조한 좋은 반려자였다. 하지만 당시의 사회는 정식 혼인하지 않은 이들의 관계를 '불륜'으로 매도했으며, 헨드리키에는 여러 차례 교회 재판소에 불려나가 고초를 겪어야만 했다.
렘브란트는 부지런히 작품 활동에 매진했으나, 두 가정부와 얽힌 이런 일련의 사건들을 겪으며 서서히 가세가 기울었고 50세 되던 해에 '파산 선고'를 받게 되었다. 이후 렘브란트(Rembrandt)는 궁핍한 생활에 시달리면서도 훌륭한 작품을 계속 발표했지만, 56세 때 헨드리키에가 세상을 떠나고 그로부터 6년 뒤에 아들 '티투스'마저 저 세상으로 가 버리자 외롭고 비참한 말년을 보내게 된다.
'젊은 시절'엔 화려한 나날을 보내기도 했었지만 '말년' 들어 가난하고 고독한 삶을 이어가야만 했던 렘브란트는 아들이 죽은 다음 해, 임종을 지켜보는 이도 없는 가운데 쓸쓸하게 생을 마감했다.
그렇게 비참하게 지냈던 말년에 '주옥같은 작품'을 쏟아 내었고 후대에 '위대한 화가'로 남게 되었으나, 결국 초라한 집에서 불쌍하게 죽어가야만 했던 렘브란트(Rembrandt)의 삶을 생각하니 마음이 참 짠하다. 간혹 너무나 금욕적인 생활을 하고 여인과의 사랑 보다는 '자기 작품 세계'에 푹 빠져 지내는 예술가들도 있지만, 렘브란트 반 레인(Rembrandt van Rijn)의 경우엔 옆에서 자신을 지탱해줄 수 있는 '여인(동반자)'이 있어야 마음 편히 작품 활동 할 수 있는 화가였던 것 같다.
그랬던 그가 젊은 나이에 부인을 떠나보내고, 그 뒤에 같이 살았던 (아들의) 보모들과 '정식 재혼'할 수 없는 채로 이런 저런 송사와 사회적 비난에 시달려야 했던 사실이 무척 안타깝게 느껴진다. 아울러, 당대의 사람들이 렘브란트(Rembrandt) 예술성의 뛰어남을 이해하지 못했던 것도...
그 후 렘브란트가 아들 '티투스'를 양육하기 위해 과부인 '헤르트헤 다르크'를 보모로 고용했고 나중엔 그녀와 사실혼 관계에 들어갔으나, 렘브란트 쪽에서 '결혼' 생각은 없었다. '아들의 유모'와의 동거로 사회적 명성에서 흠집이 나고 헤르트헤와 이런 저런 갈등을 겪던 렘브란트는 결국 그녀와 결별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헤르트헤가 '혼인 불이행'에 대한 소송을 걸었고, 법원에선 렘브란트(Rembrandt)에게 '매년 헤르트헤에게 별거 수당을 지불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 때부터 서서히 '경제력'에 타격 입고 운이 기울기 시작한 렘브란트.. 그 다음 '보모 겸 가정부'인 '헨드리키에 스토펠스'와 또 사랑에 빠졌고 그녀와의 사이에서 딸도 낳았지만, 죽을 때까지 '정식 결혼'은 하지 않았다. 렘브란트가 헤르트헤나 헨드리키에와 재혼하지 않은 것은 아들 '티투스'에게 물려줄 유산 때문이었던 듯하다. 부유한 집안 출신으로 많은 재산을 갖고 있었던 아내 '사스키아'가 죽기 전, 만일 자신이 죽으면 '재혼하지 말고, 그 유산을 아들 티투스에게 넘기라'는 유언을 남겼으므로...
비록 정식 혼인은 하지 않았지만, 렘브란트를 진심으로 사랑한 '헨드리키에 스토펠스(Hendrickje Stoffels)'는 그의 아들 '티투스'를 정성껏 양육했고 때론 렘브란트의 그림 모델이 되어주기도 하면서 정성껏 내조한 좋은 반려자였다. 하지만 당시의 사회는 정식 혼인하지 않은 이들의 관계를 '불륜'으로 매도했으며, 헨드리키에는 여러 차례 교회 재판소에 불려나가 고초를 겪어야만 했다.
렘브란트는 부지런히 작품 활동에 매진했으나, 두 가정부와 얽힌 이런 일련의 사건들을 겪으며 서서히 가세가 기울었고 50세 되던 해에 '파산 선고'를 받게 되었다. 이후 렘브란트(Rembrandt)는 궁핍한 생활에 시달리면서도 훌륭한 작품을 계속 발표했지만, 56세 때 헨드리키에가 세상을 떠나고 그로부터 6년 뒤에 아들 '티투스'마저 저 세상으로 가 버리자 외롭고 비참한 말년을 보내게 된다.
'젊은 시절'엔 화려한 나날을 보내기도 했었지만 '말년' 들어 가난하고 고독한 삶을 이어가야만 했던 렘브란트는 아들이 죽은 다음 해, 임종을 지켜보는 이도 없는 가운데 쓸쓸하게 생을 마감했다.
그렇게 비참하게 지냈던 말년에 '주옥같은 작품'을 쏟아 내었고 후대에 '위대한 화가'로 남게 되었으나, 결국 초라한 집에서 불쌍하게 죽어가야만 했던 렘브란트(Rembrandt)의 삶을 생각하니 마음이 참 짠하다. 간혹 너무나 금욕적인 생활을 하고 여인과의 사랑 보다는 '자기 작품 세계'에 푹 빠져 지내는 예술가들도 있지만, 렘브란트 반 레인(Rembrandt van Rijn)의 경우엔 옆에서 자신을 지탱해줄 수 있는 '여인(동반자)'이 있어야 마음 편히 작품 활동 할 수 있는 화가였던 것 같다.
그랬던 그가 젊은 나이에 부인을 떠나보내고, 그 뒤에 같이 살았던 (아들의) 보모들과 '정식 재혼'할 수 없는 채로 이런 저런 송사와 사회적 비난에 시달려야 했던 사실이 무척 안타깝게 느껴진다. 아울러, 당대의 사람들이 렘브란트(Rembrandt) 예술성의 뛰어남을 이해하지 못했던 것도...
'사.람.들..'의 다른글
- 이전글여성들의 메이컵 문화, 5천년 역사의 '립스틱' 발전사
- 현재글가정부와 사랑에 빠진 화가 '렘브란트'
- 다음글그림 실력으로 온 유럽을 누빈 여성 화가, 비제 르브룅
관련글
-
HJ심리이야기 2011.03.28 23:49
좋아하는 화가인데...
답글
사생활은 아들도 먼저 보내고.. 좀 쓸쓸하게 마무리되었네요..
안타깝기도 하지만.. 작품이 남아 다행이라고 해야할까요 ^^ -
-
Lipp 2011.03.29 07:45
저도 렘브란트 그림을 좋아하는데 이런 사생활로 힘들었던건 몰랐네요 ..
답글
게다가 임종도 지켜보는 이가 없었다니 ..슬프네요 ,,
안정적인 관계속에서 작품활동을 해야했던 화가인가봐요. -
-
-
-
-
안타깝네요... 음악가들도 불행하게 살다 간 사람들도 많고 -
답글
많은 사람들에게 - 오랜 세월을 거쳐 거의 전 인류에게-
기쁨과 영감을 준 사람들이 힘들게 살았던 기록을 보면
참 여러 생각이...ㅜ -
천재들의 삶은 항상 비극적이군요..역시 동시대에서는 힘들어하는 것이 램브란트와 같은 천재들인가보네요..좋은글 감사합니다
답글 -
유난히 그 시기의 화가들 중에는 이런 식의 뒷이야기를 남긴
답글
화가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아름다운 그림에 비해 삶이 불행했다던가 하는 이야기요
감성 때문인지 작품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덕분에 감상할 수 있는 그림이 많네요 -
네덜란드 갔을 때 그림 보러 갔었는데...이런 사실은 잘 몰랐네요. 사생활로 비난도 받고 작품의 가치도 인정받지 못했었군요. 어찌되었든 지금은 예술은 남았지만 하나 뿐인 본인의 인생은...좀 안됐어요.
답글 -
당시의 예술가들이 그렇듯 렘브란트도 참 굴곡진 삶을 살았네요.
답글
전 다른 것보다 동시대인들에게 인정받지 못한 삶이 제일 안타깝습니다.
책을 내는 작가들도 사후에 인정받는 경우가 많은데...
예술의 가치는 시간의 흘러감이 보증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