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폴리스
삼라만상의 원리가 담겨 있는 '윷놀이'
그 중 다른 놀이들은 야외에 나가야 즐길 수 있는 것들이지만, '윷놀이'의 경우엔 온 가족이 따뜻한 집안에서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전통 놀이에 속한다. 이 윷놀이의 역사는 굉장히 오래 되었다.
윷가락을 던졌을 때 나오는 '도/개/걸/윷/모'는 부여 시대의 관직명에 속하는 4출도를 뜻하는 것에서 유래된 것이다. 부여는 우리 나라의 고조선(청동기+철기 시대) 다음에 나타난 철기 시대의 국가로, 당시 부여 밑에는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마한/진한/변한) 등의 초기 국가가 존재했다. 그 시기의 지도를 보면, 한반도의 백두산 위쪽에 있는 중국 땅이 우리 나라(부여) 땅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부여엔 왕 외에 마가(馬加), 우가(牛加), 구가(狗加), 저가(猪加) 등의 족장이 존재해서 나라를 다스렸는데, 윷놀이 때 쓰이는 건 여기에다 양가(羊加)를 합한 것이다. <도-돼지(猪) / 개-개(狗) / 걸-양(羊) / 윷-소(牛) / 모-말(馬)>의 원리에 해당한다. 그 시기의 '부여'에서도 즐긴 윷놀이는 그 이전 시대인 '고조선' 때부터 전해져 내려온 굉장히 오래된 놀이에 속한다.
'윷놀이'를 할 때엔 기본적으로 '4개의 윷(가락)과 윷판 & 윷말'이 필요하다. 두 편으로 팀을 가른 뒤 번갈아 가면서 4개의 윷을 던지는데, 이 때 높이 던져서 떨어진 네 개의 윷 중 '하나가 뒤집어 지면 도, 두 개 뒤집어지면 개, 세 개 뒤집어지면 걸, 모두 뒤집어지면 윷, 모두 앞쪽을 향하면 모'라고 한다.
종이나 천으로 만들어진 윷판에서 '도는 1발, 개는 2발, 걸은 3발, 윷은 4발, 모는 5발' 앞으로 갈 수 있으며, 두 편 중 <윷판에서 4개의 윷말이 시작점=종착점까지 빨리 돌아서 도착하는 팀>이 이기게 되어 있다. 던진 윷가락의 양상으로 윷말을 놓을 때 '한 쪽 편이 상대 편이랑 같은 위치에 놓임'으로써 상대편 말을 잡을 수 있으며, '윷'과' 모'가 나오면 한 번 더 던질 수 있다.
또한.. 원래는 큰 테두리를 돌게 되어 있지만, 윷말이 중간에 있는 '큰 점'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지름길'로 갈 수 있다. 기본적으론 (윷말이) 많이 갈수록 좋지만, 윷놀이엔 '여러 변수'가 작용하기에 무조건 많이 간다고 이기는 건 아니다. 여기에 '윷놀이'의 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런 방식으로 즐기는 설 명절의 대표 놀이 '윷'은 단순한 놀이에 불과한 게 아니라, 그 안에 음양/오행 등의 철학이나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천문 사상, 대우주의 원리가 녹아 있다.
전통 놀이 <윷놀이>가 '윷+윷판+윷말'의 3가지로 구성된 것은 우리 선조들 고유의 '삼신(三神) 사상'을 나타내는 대목이다. 또한 양(陽)의 이치에 해당하는 앞판, 음(陰)의 이치에 해당하는 뒷판을 기본으로 하는 '도개걸윷모'는 음양 오행에서 말하는 '5행(목화토금수)'를 뜻하는 것이다. <도-수(水) / 개-화(火) / 걸-목(木) / 윷-금(金) / 모-토(土)>의 원리에 속한다.
<윷판> 바깥 외곽을 이루는 큰 테두리는 '하늘'을 상징하고, + 모양으로 된 가운데 구역은 동서남북의 방향을 지닌 '땅'을 가리킨다. 큰 테두리 안에 위치한 '8개의 작은 점'은 '북두칠성이 정중앙에 있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4계절과 4방위를 따라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윷판에 있는 4개의 큰 점과 정중앙 점을 합하여 '오행'의 원리로 보기도 하고, 이것은 '동/서/남/북/중'의 다섯 방향을 가리키기도 한다.
'윷놀이'에 쓰이는 <윷판>엔 29개의 점이 찍혀 있다. 이 중 천원점(天元點)이라 불리는 '정중앙에 있는 점'은 세지 않으며, 나머지 28개 점은 28수에 속하는 별자리를 나타낸다. 이것은 '북두의 일곱 별이 어찌 되면, 어떤 사람의 운명이 이러저러하게 된다..'는 우리 나라의 '칠성(七星) 신앙'과 관련이 있다. 북두칠성이 인간의 운명을 관장한다는 사상을 민족 고유의 놀이인 '윷놀이'에 적용시킨 것이다.
'달'을 상징하는 윷말이 윷판을 하나씩 지나는 것은 '우리 민족이 임의로 나눠놓은 천문 28수(달의 공전 주기가 27.32일이라, 28 구역으로 나눈 것임)를 지나가는 걸 상징해서 만든 것'이라 한다.
'윷놀이' 할 때 쓰이는 윷 원재료인 박달 나무는 우주의 본체라 할 수 있는 '태극(太極)'이며, 그것을 잘개 쪼개면 '음양(陰陽 : 앞면과 뒷면)'을 지닌 윷가락이 된다. 4개의 윷가락은 '사상(四象)'에 속한다. 윷가락 4개의 앞뒷면을 모두 합치면 '팔괘(八卦)'가 된다. 도/개/걸/윷/모는 '오행(五行)'을 뜻한다.
이러하듯 <윷놀이> 안에 태극/음양/사상/오행/팔괘 등 '우주 만물의 운행 원리'가 다 들어가 있는 것이다. 또한, 놀이 안에 '서로 잡고 잡히고, 흥했다 망했다, 앞서거니 뒷서거니..'하는 인생사의 이치가 녹아 있다. 그 안에 삼라만상의 원리를 다 포함하고 있는 이 '윷놀이'로 농경 사회 때의 사람들은 농사의 풍흉을 점 치기도 하고, 개개인의 길흉을 알아보는 점술 도구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동양에서 말하는 '오행설'은 우주 만물, 세상 만사에 두루 적용이 가능하다. 음양과 오행을 알면 사람의 운명도 (일종의 통계로) 미리 예측해 볼 수 있는데, 그러한 음양/오행 사상이 우리가 설날 때 주로 하는 <윷놀이> 안에 다 들어가 있다니, 실로 철학적이고 심오한 놀이가 아닌가 싶다.
<윷놀이>의 묘미는 4개의 윷가락을 던졌을 때 어떤 모양이 나올지 알 수 없는 '예측 불가함(우연성)'과 '윷판 위를 왔다갔다 하는 윷말을 운용하는 사람의 지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그 과정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변수에 의해 놀이의 양상이 달라질 때마다, 각 팀의 희로애락이 갈린다~'는 대목이 전반적인 우리들의 인생사와도 무척 닮아 있다. 짜릿한 재미도 있고, 심오한 삼라만상의 원리도 녹아 있는 이 '윷놀이'가 올 구정 때에도 많은 이들에게 큰 즐거움을 주었으면 한다..
'메타 폴리스'의 다른글
- 이전글편견 속에 존재했던 '기생', 원래는 예술가?
- 현재글삼라만상의 원리가 담겨 있는 '윷놀이'
- 다음글'꿩 대신 닭'의 속담을 탄생시킨 '떡국'
관련글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1.01.31 21:07
윳놀이는 마당에서 가마니 깔고 해야 제맛인데.....ㅎㅎㅎ
답글
요즈음 윳놀이 하자고하면 면박이나 당하고,
고스톱이나 치자는 말 나올까 무섭습니다...^^ -
우주만물과 인생사까지...ㅎㅎ
답글
윷놀이는 정말 대단한 전통놀인데요?ㅎ
글지 않아도, 모레 한국어 강좌 수업때는
수강생들과 윷놀이를 할 예정이였는데, 좋은 포스팅 감사드려요^^
(이걸 제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지만.-_ㅠ...)
근데 제가 도개걸윷모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이것저것 뒤져봤을 때, 걸은 양이 아니다 이런 설도 많더라구요.
그래도..보편적으로 양으로 알고 있으니 양으로 가야겠어요.ㅋㅋ
윷놀이나 신나게 하면서 타국에서 설 기분내야겠어요.^^ -
-
빠리불어 2011.01.31 21:59
아니, 윷놀이에 이런 자연섭리가 있었나여?
답글
완전 지혜로운 조상님들이시네여..
지혜로운 조상님들이 맹글어주신 윷놀이 신나게 하는 즐거운 명절 맞이하세여,
타라님~~~~~ ^^*
아, 넘 박식하신 타라님~
덕분에 저도 저도 낑겨서 쬐금 무식하지 않게 되네여 ㅎㅎ
타라님 짱~~~~~~~~~~~~~~~~~~~ ^^* -
윷놀이에 저런 의미가 담겨있는지 몰랐네요.
답글
그나저나 윷놀이 안해본지도 아주 오래되었습니다.
설날이 바로 눈앞에 다가왔네요.
타라님, 설 연휴 잘 보내세요.
글 잘 읽고 갑니다. -
주근깨토깽이 2011.01.31 23:06
와우 윷놀이에 이렇게 깊은 뜻이 있는지..그나저나 이 많은 자료들은 다 어디서 알게 되시는거에요~! 아님 원래 이렇게 다 아시는 거에요? 정말 타라님 글 읽을때마다 놀라워요~^^*
답글
참, 타라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행복한 설 보내세요~!! -
-
-
-
Lipp 2011.02.01 06:41
윷놀이에 이런 깊은 뜻이 숨어 있었군요 ..
답글
어릴적엔 그저 아무것도 모르고 놀았는데 말이죠 ,, ^^
사실, 거의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타라님의 자세한 설명에 기억이 새록새록 납니다.
언제 마지막으로 윷놀이를 했는지 ... 멀리 있다보니..
아 아,, 한 백년은 된거 같아요 ^^ ;;; -
-
설날 가족들과 웇놀이를 매번 하면서 윷놀이에 담겨 있는 뜻은 전혀 모르고 있었네요..^^;
답글
윷놀이 하면서 가족들에게 알려줘야 겠습니다..^^ -
세일하우 2011.02.01 20:02
윳놀이에 이런 역사가 있었군요.
답글
설날에는 윳놀이를 해야 기분이 나는거 같아요.
특히나 저희는 아이들이 있어서 정말 좋아하거든요.
타라님. 명절 즐겁게 보내세요. -
윷놀이를 하면서도 대충알고 했는데 삼라만상의 원리 우주만물의 운행원리등
답글
알고 하면 포부를 크게 가지면서 기합을 더 넣으며, 아주 재미있게 할 것 같아요~ㅎ
잘 보고 갑니다. 명절 잘 보내시고, 행복하세요~~^^* -
-
와우~
답글
이렇게 보니 또 다르네요.
놀이 하나에도 많은 생각이 담겨있는거 같아요 ㅎ
윷놀이 팀플로 하면 정말 재밌던데 ㅎㅎ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