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모든 학문에 통달한 조선의 천재, '다산 정약용'
그는 '거중기'를 고안하여 세계적 문화 유산인 '수원 화성'을 축조하는 데 큰 도움을 준 것으로도 유명하다.(이 수원 화성의 '설계도'를 작성한 이도 정약용이라고 함) 뛰어난 학문적 재능으로 정조 임금의 총애를 받은 정약용은 '청렴 결백하면서, 민본(民本)의 가치를 지향하는 (백성들에게) 어진 관리'였다고 전해진다. 비록 정조 사후에 '천주교 탄압'에 연루되어 꽤 오랫동안 유배 생활을 하기도 했지만, 정약용은 그 고난의 시간동안 학문 연구에 몰두하고 엄청난 저작 활동을 하면서 학문적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만약 '정조 임금'이 좀 더 오래 살고 '부국강병을 꿈꿨던 조선의 천재 정약용'이 보다 활발한 활동을 펼칠 수 있었다면, 우리 나라의 과거 역사가 더 희망적인 방향으로 풀렸을 거란 아쉬움이 남는다. 다방면에 걸쳐 뛰어난 지식을 자랑했던 정약용(1762~1836)은 '우리 나라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라고도 불린다. 조선 시대를 통틀어 한 둘 나올까 말까 한 그런 천재를 무려 18년 동안이나 유배지에서 썩게 했다는 건, 지금 생각해도 정말 어이가 없는 일이다..;;
한 때 형조에서 일하기도 했던 '정약용'이 요즘엔 우리 나라의 드라마나 영화 속 인물로도 자주 등장하는 분위기이다. 그것두 '탐정'으로... 실제로, 그의 저서 중 무척 유명한 <흠흠신서>는 정약용이 황해도 곡산부사(谷山府使)로 있을 때 '수사했던 사건들'을 사례별로 정리하여 기록으로 남긴 책이며, 사람의 생명과 연관된 판결을 내릴 때에는 최대한 신중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는 형법서에 속한다.
당시 형조직으로 근무했던 정약용(丁若鏞)은 수많은 '형사 사건'을 접하게 되었는데, 그 때마다 '과학적인 수사'를 하고 '합리적인 판결'을 내리기 위해 힘썼던 걸로 유명하다. 사람이 하는 일인 이상 100% 완벽할 순 없겠지만, 나름 솔로몬(?)의 판결을 내릴 수 있도록 노력했던 것 같으며, 특히 살인 사건에 있어선 '억울한 피해자'가 생겨나지 않도록 신중에 신중을 기할 것을 강조했다고 한다.
다산 정약용은 정치, 경제, 역사, 어문학, 지리, 과학, 예술, 의학 등 다방면에 걸쳐 '역사상 가장 많은 저술을 남긴 학자'로 이름이 나 있다. 그런데, 그 서적 하나하나가 꽤 높은 수준이라고 알려져 큰 놀라움을 자아낸다. 보통.. 한 가지 학문에 대해서만 잘 알기도 힘든데, 그렇게 '의학, 법학, 인문학, 과학, 철학' 등 다방면에 걸쳐 두루두루 뛰어난 학식을 선보였던 정약용은 그 시대의 '난 인물'이 아닌가 싶다.
이런 '정약용' 선생이 우리 나라 TV 사극에서 주인공으로 나오는 건 거의 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이 인물을 소재로 한 극이 '영화'나 '케이블용 드라마' 아닌 '지상파 드라마'로 한 번쯤 방영되었으면 좋겠다. 워낙에 다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낸 인물이라, 극의 소재나 연관된 에피소드도 무궁무진할 것 같으니 말이다.(그만큼, 작가 역량에 따라 꽤 '재미난 극'이 탄생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한 나라에서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그런 대단한 천재'가 시대의 민폐녀 같은 정순왕후 & 꼴통 벼슬아치들과 한 시대에 활약할 수밖에 없었단 사실이 대략 유감이다..
'사.람.들..'의 다른글
- 이전글'동성애자'로 알려진 역사 속 인물과 유명인들
- 현재글모든 학문에 통달한 조선의 천재, '다산 정약용'
- 다음글로렌스 올리비에를 향한 뜨거운 사랑 : 비비안 리
관련글
-
정약용이 그린 그림은 처음보는군요..
답글
다재다능하기도 쉽지 않은데요...
그 재능으로 혁명을 한번 일으켰었다면...ㅋㅎ -
-
-
정약용과 이산의 만남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천재왕과 신하가 만나서 뜻을 이루었는데
답글
그때 당시에도 시기 와 질투에 눈이 먼 신하들 때문에 오래 가지 못한 것이 안타까운 일입니다.
잘보고 갑니다.^^ -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1.01.26 22:29
동감해요. 다산은 드라마에서는 조연급으로 시대적 배경 설명을 위해서만 등장하는게 대부분이었는데 허준처럼 주인공으로 사극을 만들었으면 하는 마음 가져봅니다.
답글
이번 김명민이 주연한 영화가 대강의 스토리를 보니 다산 정약용선생 비슷하기도 하다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영화를 볼 수 없어서 안타깝기는 하지만요. -
-
-
정조의 개혁이 성공하고 정약용이 조선 정계의 분위기를 개국과 실용으로 이끌었다면 우리도 일본처럼 독자 개국에 성공했을 수도 있죠. 저도 동감하는 면이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이인화씨의 '영원한 제국' 은 참 재미있게 본 작품이엇죠^^
답글 -
과거 현인들일 수록 다방면에 정통하신 분이 정말 많은 것 같습니다.
답글
요즘은 전문화 전문화 외치면서 외골수들이 늘어나 서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져 가는 듯 합니다. -
-
빠리불어 2011.01.27 03:00
읽다보니까 불순왕후가 미워지네여 ㅡㅡ;;;
답글
훌륭한 사람은 늘 저리 억울하게 돌아가시는 경우가 많은 듯 합니다.
저런 분이 다시 한국에 태어났음 좋겠습니다..
덕분에 국사 공부 제대로 하고 가네여..ㅎㅎ
편한밤 보내시고 즐거운 하루 맞이하세여, 타라님 ^^* -
시대를 잘못 태어나서...ㅠㅠ
답글
더 많은 빛을 볼 수 있었을텐데 아쉽네요.
불순왕후 네 이냔..-_ㅠ...
정약용 선생님은 정말 다재다능 하셨네요.
갑자기 관련 책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
-
정조 사후에 행해진 일들이 아까운 인재를 썩게 만들었네요~~
답글
그것도 18년이나.. 정순왕후가 아니라 불순왕후라는 말이 맞구요 ~ㅎ
다방면에 다재다능하신분을 잘 협조해서 정치에 반영을 했더라면하고
아쉬움이 많이 남아요! 드라마로 나오면 정말 훌륭한 분을 기리는 것이 될텐데..
기다려볼까요~~?^^ -
간간히 드라마에서 그의 모습을 보기는 했지만,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뛰어난 인물이네요. 그래서 그런 능력을 시기한 미움을 받았는지도 모르겠군요~ ^^
답글 -
블로그 글 쓰는것도 어려운데 수백권의 책을 지은 것을 보면 정말 천재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분이라고 생각해요^^
답글 -
박혜연 2011.02.10 14:04
다산선생님의 어린시절은 겉보기에는 불행해보였다는건 다산선생님의 친어머님이 세상을 떠났을때 다산선생님은 겨우 만9세였다더군요? 그러다가 12세때 새어머니가 들어오셨는데 다산선생님과는 겨우 8살차이로 아주 어린나이에도 불구하고 동생뻘되는 의붓아들을 친자식못지않게 정성껏 잘 키우셨다고하네요?
답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