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연히 어린이용 동화책을 몇 권 보게 되었다. 옛 기억을 떠올리며... 내가 '영화'로도 보고 '뮤지컬'로도 봤던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만 해도 아동용 동화로 나온 '책' 내용은 영화나 뮤지컬판이랑 '구체적인 내용'이 좀 다르던데, 같은 타이틀을 단 그 동화책들 역시 발간 연대나 출판사마다 세부적인 내용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 싶다.
어린 시절에 즐겨 봤던 동화 내용들은 비교적 '해피 엔딩'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와중에, 내가 머리털 나고 최초로 접한 '비극적 결말'의 동화가 안데르센의 <인어 공주>였다. 허나, 난 이 동화를 진정한 비극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비극적 결말이면 '슬픈 정서'가 밀려오면서 눈물이 나야 되는데, <인어 공주>의 경우엔 다 보고 나서 눈물이 나는 게 아니라 짜증의 물결이 마구마구 밀려왔기 때문이다. '주인공 인어 공주, 웬 개죽음~?' 싶으면서 말이다..(내 비록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인어 공주> 만큼은 그 쪽 동네에서 '해피 엔딩'으로 탈바꿈하게 된 걸 무척 다행으로 여기고 있다.)
당시, 어린 나이에도 <둘이 죽고 못사는 사이였으나 오해로 헤어진 것도 아니고.. 왕자는 저 나름대로 잘 먹고 잘 사는데, 여주인공인 인어 공주 혼자 짝사랑 하다가 왕자를 위해 희생한답시고 자기 삶을 망가뜨리는 것>이 그리 그럴듯한 비극처럼 느껴지지 않았던 탓이다.
루벤스 그림 '십자가에서 내려짐(Descent from the cross)'
그러한 이유로, 내 인생에 있어 '최초의 비극적 결말의 동화'는 <인어 공주>가 아니라 그 이후에 접한 <플란다스의 개>가 되었다. 똑같이 '주인공이 죽는 마무리'였어도 <인어 공주>는 짜증 나는 결말, <플란다스의 개>는 감동적이고 슬프고 아련한 분위기의 동화로 기억의 한 자리를 차지하면서 말이다..
만화극으로도 나왔던 <플란다스의 개>에서 주인공 네로는 그림을 잘 그리는 화가 지망생으로 나온다. 가난하지만 '네로' 어린이와 그의 '할아버지' & 플란다스의 개 '파트라슈'는 서로를 의지하면서 열심히 살아가는데, 극 후반부에 네로의 할아버지는 돌아가시고 파트라슈와 둘만 남은 불쌍한 네로는 우여곡절을 겪은 뒤 맨 마지막에 성당 안에서 유명 화가의 그림을 보다가 파트라슈와 끌어안고 얼어죽게 된다.
어린 시절, 그 내용을 읽으면서 '너무 불쌍하잖아~' 하면서 파트라슈와 네로를 떠올리며 몇날 며칠 슬퍼했던 기억이 난다.(지금도 <플란다스의 개> 내용을 떠올리면 눈물이..) 개인적으로, '조그마한 어린애들'이 고생하거나 '말 못하는 짐승들' 나와서 각박한 세상 속에서 핍박 받는 그런 스토리에 마음이 많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 내용이 만약 인기 신문(or 잡지)에 연재되었거나 요즘의 TV 드라마 같은 데 나왔다면, 아마도 독자나 시청자들의 "마지막에 네로와 파트라슈를 죽이지 말아주세요~ 네로가 좋은 후원자를 만나거나, 부잣집에 입양 가서 행복하게 사는 모습을 보고싶어요~" 류의 전화/편지/인터넷 글이 폭주했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역대 한국 드라마 전체 시청률 순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조소혜 작가의 1996년 드라마 <첫사랑>도 동화 <플란다스의 개>에서 '모티브'를 따온 내용이 아닐까 한다. 서로 많이 좋아하는 '부잣집 딸 효경(이승연)'과 '그림 잘 그리는 가난한 집 아들 찬혁(최수종)'을 떼어놓기 위해 '여자 쪽 아빠랑 삼촌'이 별짓 별짓 다하면서 남자 주인공 찬혁을 괴롭히는 게 동화 <플란다스의 개> 설정이랑 똑같다.
동화 <플란다스의 개>에서도, 네로와 서로 좋아하는 '여자 친구 아로아의 부자 아빠'가 악역으로 나온다. 자기 딸이 가난한 네로와 교제하는 걸 막기 위해 네로에게 온갖 몹쓸짓은 다 하는...
<플란다스의 개> 마지막 장면엔, 루벤스의 그림(성화)들이 나온다. 평소 성당 안에 있는 루벤스의 그림 'Descent from the Cross(십자가로부터의 강하)'를 보는 게 소원이었던 네로는 돈이 없어서 그 그림을 보지 못했다가, 성당지기 아저씨의 도움으로 원하는 그림을 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굶주림과 추위로 인해 결국 네로는 파트라슈와 함께 얼어죽게 되는데, 그 때 또 'Assumption of the Virgin(성모 승천)'이란 그림이 등장하게 된다.
동화에 나온 '플란다스=플랑드르=플란더스(Flanders)'는 벨기에 쪽에 위치한 한 지방을 의미한다. 애니메이션 <플란다스의 개>에서 '주인공 네로가 간절히 보길 원했던 그림'을 그린 페테르 파울 루벤스(Peter Paul Rubens) 역시 스페인 왕실이 지배하던 벨기에 출신으로, 평생 종교나 신화적 주제를 다룬 그림을 비롯하여 초상화, 풍경화, 자화상 등 2,000점이 넘는 작품을 남긴 화가이다.
당시 전 유럽을 걸쳐 국제적으로 활동한 루벤스는 웅장하고 화려한 느낌의 역사/종교화, 신화화 등을 많이 그렸으며 '17세기 플랑드르(플란다스) 회화의 거장' or '바로크 미술의 대가'로 손꼽힌다.
비록 '어린 아이와 개가 죽는 서글픈 결말'이었고 그런 류의 새드 엔딩을 별로 선호하진 않지만, 동화와 애니메이션으로 나온 <플란다스의 개> 경우엔 마지막 장면에 나온 루벤스(Rubens)의 그림들로 인해 이 극의 결말이 어쩐지 경건하고 성스럽게 느껴졌다. 소시 적에 접했던 동화들이 꽤 많지만,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들로 <플란다스의 개>는 세월이 흘러도 내내 기억 속에 꽤 '강렬한 인상'으로 남아 있다..
어린 시절에 즐겨 봤던 동화 내용들은 비교적 '해피 엔딩'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와중에, 내가 머리털 나고 최초로 접한 '비극적 결말'의 동화가 안데르센의 <인어 공주>였다. 허나, 난 이 동화를 진정한 비극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비극적 결말이면 '슬픈 정서'가 밀려오면서 눈물이 나야 되는데, <인어 공주>의 경우엔 다 보고 나서 눈물이 나는 게 아니라 짜증의 물결이 마구마구 밀려왔기 때문이다. '주인공 인어 공주, 웬 개죽음~?' 싶으면서 말이다..(내 비록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인어 공주> 만큼은 그 쪽 동네에서 '해피 엔딩'으로 탈바꿈하게 된 걸 무척 다행으로 여기고 있다.)
당시, 어린 나이에도 <둘이 죽고 못사는 사이였으나 오해로 헤어진 것도 아니고.. 왕자는 저 나름대로 잘 먹고 잘 사는데, 여주인공인 인어 공주 혼자 짝사랑 하다가 왕자를 위해 희생한답시고 자기 삶을 망가뜨리는 것>이 그리 그럴듯한 비극처럼 느껴지지 않았던 탓이다.
그러한 이유로, 내 인생에 있어 '최초의 비극적 결말의 동화'는 <인어 공주>가 아니라 그 이후에 접한 <플란다스의 개>가 되었다. 똑같이 '주인공이 죽는 마무리'였어도 <인어 공주>는 짜증 나는 결말, <플란다스의 개>는 감동적이고 슬프고 아련한 분위기의 동화로 기억의 한 자리를 차지하면서 말이다..
만화극으로도 나왔던 <플란다스의 개>에서 주인공 네로는 그림을 잘 그리는 화가 지망생으로 나온다. 가난하지만 '네로' 어린이와 그의 '할아버지' & 플란다스의 개 '파트라슈'는 서로를 의지하면서 열심히 살아가는데, 극 후반부에 네로의 할아버지는 돌아가시고 파트라슈와 둘만 남은 불쌍한 네로는 우여곡절을 겪은 뒤 맨 마지막에 성당 안에서 유명 화가의 그림을 보다가 파트라슈와 끌어안고 얼어죽게 된다.
이 내용이 만약 인기 신문(or 잡지)에 연재되었거나 요즘의 TV 드라마 같은 데 나왔다면, 아마도 독자나 시청자들의 "마지막에 네로와 파트라슈를 죽이지 말아주세요~ 네로가 좋은 후원자를 만나거나, 부잣집에 입양 가서 행복하게 사는 모습을 보고싶어요~" 류의 전화/편지/인터넷 글이 폭주했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역대 한국 드라마 전체 시청률 순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조소혜 작가의 1996년 드라마 <첫사랑>도 동화 <플란다스의 개>에서 '모티브'를 따온 내용이 아닐까 한다. 서로 많이 좋아하는 '부잣집 딸 효경(이승연)'과 '그림 잘 그리는 가난한 집 아들 찬혁(최수종)'을 떼어놓기 위해 '여자 쪽 아빠랑 삼촌'이 별짓 별짓 다하면서 남자 주인공 찬혁을 괴롭히는 게 동화 <플란다스의 개> 설정이랑 똑같다.
동화 <플란다스의 개>에서도, 네로와 서로 좋아하는 '여자 친구 아로아의 부자 아빠'가 악역으로 나온다. 자기 딸이 가난한 네로와 교제하는 걸 막기 위해 네로에게 온갖 몹쓸짓은 다 하는...
<플란다스의 개> 마지막 장면엔, 루벤스의 그림(성화)들이 나온다. 평소 성당 안에 있는 루벤스의 그림 'Descent from the Cross(십자가로부터의 강하)'를 보는 게 소원이었던 네로는 돈이 없어서 그 그림을 보지 못했다가, 성당지기 아저씨의 도움으로 원하는 그림을 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굶주림과 추위로 인해 결국 네로는 파트라슈와 함께 얼어죽게 되는데, 그 때 또 'Assumption of the Virgin(성모 승천)'이란 그림이 등장하게 된다.
동화에 나온 '플란다스=플랑드르=플란더스(Flanders)'는 벨기에 쪽에 위치한 한 지방을 의미한다. 애니메이션 <플란다스의 개>에서 '주인공 네로가 간절히 보길 원했던 그림'을 그린 페테르 파울 루벤스(Peter Paul Rubens) 역시 스페인 왕실이 지배하던 벨기에 출신으로, 평생 종교나 신화적 주제를 다룬 그림을 비롯하여 초상화, 풍경화, 자화상 등 2,000점이 넘는 작품을 남긴 화가이다.
당시 전 유럽을 걸쳐 국제적으로 활동한 루벤스는 웅장하고 화려한 느낌의 역사/종교화, 신화화 등을 많이 그렸으며 '17세기 플랑드르(플란다스) 회화의 거장' or '바로크 미술의 대가'로 손꼽힌다.
비록 '어린 아이와 개가 죽는 서글픈 결말'이었고 그런 류의 새드 엔딩을 별로 선호하진 않지만, 동화와 애니메이션으로 나온 <플란다스의 개> 경우엔 마지막 장면에 나온 루벤스(Rubens)의 그림들로 인해 이 극의 결말이 어쩐지 경건하고 성스럽게 느껴졌다. 소시 적에 접했던 동화들이 꽤 많지만,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들로 <플란다스의 개>는 세월이 흘러도 내내 기억 속에 꽤 '강렬한 인상'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