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 특수 효과가 가미된 웹툰 '옥수역 귀신'과 '봉천동 귀신'이 별로 무섭지 않았다고 말한 포스팅을 하긴 했으나, 그렇다고 하여 내가 모든 '공포 영화'에 공포심을 느끼지 못하는 건 아니다. 비록 갖가지 장치들을 동원하여 대놓고 '무섭지롱?' 하는 영화엔 별 감흥 없으나, 극 전반에 걸쳐 은근히 스산한 분위기가 흐르는 <공포 영화>엔 나도 모르게 오싹~하는 기분을 느낄 때가 있다.
여담으로 오래 전 브루스 윌리스 주연의 '반전(?)적 결말'의 영화 <식스 센스>를 극장에서 본 적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그 영화가 그닥 반전스럽거나 무섭게 느껴지진 않았다. 내가 인정하는 진정한 반전 영화는 <유주얼 서스펙트(The Usual Suspects)>이고, <식스 센스(The Sixth Sense)>나 <디 아더스(The Others)>를 봤을 땐 그 임팩트가 좀 약해서 별로 반전스런 결말처럼 느껴지지 않았던...
이 절름발이(사실은 안 절름발이)씨는 천재였다...
<유주얼 서스펙트>에 비해 다소 '결말부 반전'이 약해 보였던 영화 <식스 센스> 중간중간에 '죽은 자'들의 모습이 등장하긴 했으나, 그렇게 공포스럽거나 놀랍게 느껴지진 않았다.
당시 그 영화관 안에서 나를 더 공포스럽게 만든 건, 긴장감 넘치는 '배경 음악'만 깔렸을 뿐 아직 귀신(죽은 자들 모습)이 등장하지도 않았음에도 벌써부터 겁에 질려 "꺄악~~~~!!!!!!!!!" 하고 소리 질러대던 여성 관객들의 '초고음 비명 소리'였다. 아직 무서운 장면이 등장하지도 않았는데, 여기서 "꺅~!!" 저기서 "꺅~!!"거리니 놀랄 수밖에... 그래서 '조용히 좀 감상하지. 극 안에 나오는 귀신보다 네 비명 소리가 더 무섭거든~?' 그러고 싶은 걸 꾹 참고 봤던 기억이 난다..
기타 등등의 공포 영화도 그럭저럭 담담한 마음으로 보며 '공포 영화 따위(?) 무섭지 않아~' 하던 어느 날, 비디오 가게에서 일본판 <링>을 빌려 보았다. 그 영화도 따지고 보면 되게 무섭진 않았고, 마지막에 사다코가 TV 속에서 기어나올 땐 '이거 웬 병맛~' 싶으면서 그 설정이 살짝 코믹하게 느껴지기도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 전반에 흐르는 분위기가 음산하여 나도 모르게 두려움에 떨면서 본 영화였다.
그 때 그 영화를 볼 당시의 '주변 환경'도 한 몫했던 것 같다. 비가 부슬부슬 내려 오후 시간대임에도 벌써 창 밖 풍경이 어둑어둑했던 '을씨년스런 날씨' 속에, 집에서 혼자 거실 불 꺼놓고 <링> 비디오를 빌려 보았던 것이다. 해당 영화에 대한 사전 정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저 음산한 분위기 속에, 언제 무서운 장면이 나올지 몰라~' 식의 예상이 그 영화를 더 무섭게 느끼게끔 만든 게 아닌가 싶다.
허나 <링>의 마지막 장면은 좀 황당했으며, 그 당황스런 '사다코 장면'은 한 때 여러 곳에서 코믹 버전으로 '패러디'되기도 했었다. 이젠 휴대폰으로도 'TV 프로그램'을 감상하고 '영화'도 보고 하는 세상이 되어 공포 영화 <링> 속에서의 '사다코 엔딩 장면'에 대한 새로운 패러디가 등장했다.
휴대폰 그 조그마한 화면으로 영화를 보다 보니 그 안에서 튀어 나오는 '사다코' 사이즈도 작을 수밖에 없는데(그녀가 해당 화면보다 훨씬 크면 그 화면 밖으로 나오는 결말 자체가 성립이 안되니..), 스마트폰으로 영화 <링>을 보던 관람자 입장에선 폰 크기 만큼이나 작은 사이즈의 '귀신 사다코'가 만만한 거다.
이 웹툰에선 아이폰을 개발한 '잡스'씨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사실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폰'으로도 굳이 '영화'를 볼려면 볼 수는 있다. 어쨌든 '세상의 변화'에 따라 이젠 누워서도 조그마한 휴대폰으로 TV 프로나 영화를 볼 수 있게 되어서, 점점 이런 류의 유머도 생겨나는 게 아닐까 한다.
예전엔 '초미니 사이즈의 사다코'가 굴욕을 겪는 이런 이야기 외에 '높은 받침대 위에 있던 TV에서 기어 나오다가 쿵~하고 떨어지는 사다코' 시련 버전도 존재했었다. 분식집이나 동네 식당 같은 데 가면 보통 TV가 그렇게 (테이블에 앉은 손님들 눈높이에 맞춰)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영화 주인공이 식당 주인이라면..?' 하는 가정 하에 사다코에 대한 그런 설정도 가능한 것이다.
원래는 벌벌 떠는 '영화 속 <링>의 주인공'을 압도하며 큰 공포감을 심어줘야 할 '귀신 사다코'가 이래저래 '코믹물(패러디물)'의 단골 인물로 등장하여 큰 고초를 겪고 있는 듯하다.
그랬던 영화 <링>의 사다코가 조만간 3D(쓰리디) 영화로 돌아온다고 한다.(2012년 개봉) 입체적인 삼디 영화로 보면, 극 안의 '사다코'가 마치 '스크린 밖으로 튀어나오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을까..? 이미 '희화화'된 지 오래 되었지만, 3D(삼디) 영화는 또 느낌이 다를 수 있으니 '색다른 분위기의 공포 체험'을 해보고 싶은 이들에겐 꽤 땡기는 영화가 되지 않을까 싶다..
여담으로 오래 전 브루스 윌리스 주연의 '반전(?)적 결말'의 영화 <식스 센스>를 극장에서 본 적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그 영화가 그닥 반전스럽거나 무섭게 느껴지진 않았다. 내가 인정하는 진정한 반전 영화는 <유주얼 서스펙트(The Usual Suspects)>이고, <식스 센스(The Sixth Sense)>나 <디 아더스(The Others)>를 봤을 땐 그 임팩트가 좀 약해서 별로 반전스런 결말처럼 느껴지지 않았던...
이 절름발이(사실은 안 절름발이)씨는 천재였다...
<유주얼 서스펙트>에 비해 다소 '결말부 반전'이 약해 보였던 영화 <식스 센스> 중간중간에 '죽은 자'들의 모습이 등장하긴 했으나, 그렇게 공포스럽거나 놀랍게 느껴지진 않았다.
당시 그 영화관 안에서 나를 더 공포스럽게 만든 건, 긴장감 넘치는 '배경 음악'만 깔렸을 뿐 아직 귀신(죽은 자들 모습)이 등장하지도 않았음에도 벌써부터 겁에 질려 "꺄악~~~~!!!!!!!!!" 하고 소리 질러대던 여성 관객들의 '초고음 비명 소리'였다. 아직 무서운 장면이 등장하지도 않았는데, 여기서 "꺅~!!" 저기서 "꺅~!!"거리니 놀랄 수밖에... 그래서 '조용히 좀 감상하지. 극 안에 나오는 귀신보다 네 비명 소리가 더 무섭거든~?' 그러고 싶은 걸 꾹 참고 봤던 기억이 난다..
기타 등등의 공포 영화도 그럭저럭 담담한 마음으로 보며 '공포 영화 따위(?) 무섭지 않아~' 하던 어느 날, 비디오 가게에서 일본판 <링>을 빌려 보았다. 그 영화도 따지고 보면 되게 무섭진 않았고, 마지막에 사다코가 TV 속에서 기어나올 땐 '이거 웬 병맛~' 싶으면서 그 설정이 살짝 코믹하게 느껴지기도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 전반에 흐르는 분위기가 음산하여 나도 모르게 두려움에 떨면서 본 영화였다.
그 때 그 영화를 볼 당시의 '주변 환경'도 한 몫했던 것 같다. 비가 부슬부슬 내려 오후 시간대임에도 벌써 창 밖 풍경이 어둑어둑했던 '을씨년스런 날씨' 속에, 집에서 혼자 거실 불 꺼놓고 <링> 비디오를 빌려 보았던 것이다. 해당 영화에 대한 사전 정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저 음산한 분위기 속에, 언제 무서운 장면이 나올지 몰라~' 식의 예상이 그 영화를 더 무섭게 느끼게끔 만든 게 아닌가 싶다.
허나 <링>의 마지막 장면은 좀 황당했으며, 그 당황스런 '사다코 장면'은 한 때 여러 곳에서 코믹 버전으로 '패러디'되기도 했었다. 이젠 휴대폰으로도 'TV 프로그램'을 감상하고 '영화'도 보고 하는 세상이 되어 공포 영화 <링> 속에서의 '사다코 엔딩 장면'에 대한 새로운 패러디가 등장했다.
휴대폰 그 조그마한 화면으로 영화를 보다 보니 그 안에서 튀어 나오는 '사다코' 사이즈도 작을 수밖에 없는데(그녀가 해당 화면보다 훨씬 크면 그 화면 밖으로 나오는 결말 자체가 성립이 안되니..), 스마트폰으로 영화 <링>을 보던 관람자 입장에선 폰 크기 만큼이나 작은 사이즈의 '귀신 사다코'가 만만한 거다.
이 웹툰에선 아이폰을 개발한 '잡스'씨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사실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폰'으로도 굳이 '영화'를 볼려면 볼 수는 있다. 어쨌든 '세상의 변화'에 따라 이젠 누워서도 조그마한 휴대폰으로 TV 프로나 영화를 볼 수 있게 되어서, 점점 이런 류의 유머도 생겨나는 게 아닐까 한다.
예전엔 '초미니 사이즈의 사다코'가 굴욕을 겪는 이런 이야기 외에 '높은 받침대 위에 있던 TV에서 기어 나오다가 쿵~하고 떨어지는 사다코' 시련 버전도 존재했었다. 분식집이나 동네 식당 같은 데 가면 보통 TV가 그렇게 (테이블에 앉은 손님들 눈높이에 맞춰)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영화 주인공이 식당 주인이라면..?' 하는 가정 하에 사다코에 대한 그런 설정도 가능한 것이다.
원래는 벌벌 떠는 '영화 속 <링>의 주인공'을 압도하며 큰 공포감을 심어줘야 할 '귀신 사다코'가 이래저래 '코믹물(패러디물)'의 단골 인물로 등장하여 큰 고초를 겪고 있는 듯하다.
그랬던 영화 <링>의 사다코가 조만간 3D(쓰리디) 영화로 돌아온다고 한다.(2012년 개봉) 입체적인 삼디 영화로 보면, 극 안의 '사다코'가 마치 '스크린 밖으로 튀어나오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을까..? 이미 '희화화'된 지 오래 되었지만, 3D(삼디) 영화는 또 느낌이 다를 수 있으니 '색다른 분위기의 공포 체험'을 해보고 싶은 이들에겐 꽤 땡기는 영화가 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