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 앞에서

조선의 선비 화가 남계우, '나비' 향한 열정

타라 2013. 4. 1. 15:42

그저께 문득, 소리 소문 없이 나의 시야에서 사라져 간 것들이 참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인생의 무대 앞장에 단역이나 조연으로 출연했다가 자기 역할 끝내고 무대에서 내려간 수많은 '사람'들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잠시 출연했던 '현상', '사물', 여러 종류의 '생물' 등등...

 


언젠가부터 흙길이나 돌길, 모랫길을 걸어다니는 게 뜸해졌는데, 소시 적엔 비 오는 아침이 되면 모래로 된 학교 운동장이 온통 지렁이 천지였었다. 얼마 전, 다른 연관된 기억을 떠올리다가 그 '지렁이'를 본 지 한 백 만년 된 것 같단 생각을 갑작스레 하게 되었다.

아울러 벌, 잠자리, 매미, 딱정 벌레, 귀뚜라미, 나비 등의 곤충을 구경한 지도 너무나 오래 되었다. 나비 류의 '변신 전 단계'인 번데기는 음식점 같은 데서 가끔 구경하곤 하지만... 어린 시절엔 학교 방학 숙제로 '곤충 채집'을 하기도 했었고, 남학생들이 일부러 벌 같은 걸 잡아와서 여학생들에게 들이대며 짓궂게 놀리기도 했었다. '벌'은 좀 무섭지만 '나비'나 '잠자리'는 내게도 꽤 친숙한 존재였었는데, 보통 '가을'은 잠자리 & '봄'은 나비의 계절로 인식되어 있다.

 

지금이 '봄'이라 지나다니면서 '꽃'은 종종 구경하지만, 어렸을 때 자주 봤던 형형색색의 '나비'는 마지막으로 본 게 언제였나 싶을 정도로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하다 못해, 그 비슷하게 생긴 나방이라도 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헌데.. 그것들을 자주 봤을 당시, 대체로 나비는 '호감'/나방은 '비호감'의 존재였었다.) 내가 자연과 동떨어진 삶을 살고 있어서 오랫동안 나비의 그림자조차 구경 못하는 것일까, 아님 요즘엔 나비가 흔하지 않기에 다른 사람들도 쉽게 못보는 것일까..?

나비와 같은 곤충은 동양화의 소재로도 많이 쓰였는데, '서양화'에도 가끔 출몰하지만 '나비'는 전반적으로 '동양화'와 씽크로가 더 잘 맞는 것 같다. 조선 후기 화가로 알려진 '남계우'의 경우엔, 평생동안 '나비' 관련 그림만 그리기도 했다. 그의 그림엔 '꽃'도 등장하지만 주로 '나비'를 빛내주기 위한 조연 정도의 역할인 것 같고, 남계우 화백의 주된 관심사는 '나비'였던 것 같다. '나비 전문 화가'인 셈이다..


[ '남호접(南蝴蝶)'이라 불렸던 조선 후기 선비 화가 '남계우(南啓宇)'의 '나비' 소재 동양화 ]

 

 

 

 

 

 

 

 

 

 

 

 

 

 

 

유난히 '나비'를 좋아하고 그것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데에 많은 열정을 기울인 19세기 조선 화가 남계우에겐 '남나비' or '남호접(南蝴蝶)'이란 별칭이 따라 붙었다.

사대부 가문 출신의 선비 화가 남계우(南啓宇)는 나비를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평소에 수많은 나비들을 채집하여 열심히 관찰했으며, 실물 나비로 본을 뜬 후 그 위에 채색을 했다고 한다. 비교적 여유 있는 화가였는지라, 채색할 때 금가루나 진주 가루 등 귀한 재료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의 사실적인 '나비' 그림은 후대 생물학자들에게 '학문적 자료'로 그 가치를 인정받기도 했다고 한다.

서양의 어떤 화가가 일생동안 '고양이' 그림에만 몰두했듯, 조선 말기의 남계우(南啓宇) 화백 역시 '나비'를 제대로 묘사하는 데에 온 열정을 쏟아 부었다. 그 외에도, 알려진 예술가들 중엔 본인이 관심 있어 하는 '한 가지 소재'만 집중적으로 작품화 한 이들이 종종 눈에 띈다. 요즘 들어 '나름 만능이랍시고 이것 집적, 저것 집적~하지만 정작 깊이는 없는 대중 문화 종사자'들이 많이 눈에 띄다 보니, 때론 이렇게 '진득하게 한 우물만 파는 이'들의 가치가 무척 귀하게 다가올 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