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 '바른 말, 고운 말'을 쓰자는 주의여서 욕 같은 건 잘 안하는 편이다. 그런데, 가끔 속상하거나 열 받으면 'A, C~' or 'E, C~' 정도는 한다. 다른 말로 '우쒸~'라고도 한다. 그 이상은 자제하는데, 예전에 어떤 '점잖은 줄 알았던 주변인'이 완전 화나서 흥분하며 다른 사람한테 '심한 욕' 하는 걸 보구서 되게 실망한 기억이 있다. 그렇게 욕을 하니까, 어쩐지 사람의 급이 좀 떨어져 보였다고나 할까-
하지만 경우에 따라선(정말 미칠 정도로 열 받았을 때) 욕이 필요할 때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나마 '말'로 욕이라도 하니까, 선을 넘어서서는 안되는 그 이상의 과격한 '행동'을 안하게 되는 것 아닐까..? 다만.. 그럴 경우, 그냥 혼자서만 조용히 욕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아님, 그를 좋게 봤던 주변인들에게 혐오감을 주거나 큰 충격을 선사할 수도 있을테니 말이다..
한 때 어떤 유명인이 대놓고 10원 짜리 욕을 하는 모습이 방송 카메라에 찍힌 적 있는데, 그걸 보구서 그 사람에 대해 가졌던 이미지가 와르르 무너져 내리는 느낌을 받았다. '와~ 그렇게 안 봤는데, 사람 완전 천박해 보이고 별로다~' 이런 느낌? 정말 참기 힘들 때 혼자 조용히 '순화된 욕' 정도나 하면 모를까, 타인에게 대놓고 심한 욕을 하는 건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예전에 본 몇몇 한국 영화에서 '등장 인물'들이 (안방 극장용 TV 드라마에선 절대 허용 불가능한) 저속한 '욕'을 마구마구 해대길래 좀 불편하단 느낌을 받았는데, 그 시기엔 꽤나 문화적 충격이라 느껴졌었다. 멀쩡한 배우들이 듣기만 해도 민망한 10원 짜리 욕을 막 뱉어내니 말이다.
그나마 '안방 극장'용으로 가능한 수위 낮은 욕에 '우라질' 류가 있는데, 2003년도 폐인 드라마 <다모>에서 백부장(이한위) 캐릭터가 '이런, 우라질~'을 달고 살았던 것 같다. 우리 나라 사극엔 '염병할~'같은 욕도 자주 나온다. '염병할'에 나오는 '염병'은 치사율 높았던 전염병 장티푸스를 뜻하는데, 주로 상대방을 '염병 걸려 죽을 놈' 식으로 심히 질타하거나 일이 제뜻대로 안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욕의 사용은 우리가 다 알고 있다시피 '부정적인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특정인을 저주하거나 비방하고 무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요즘엔, 사회 지도층이 정치를 잘 못하거나 우리 주변을 둘러싼 환경이 좋지 않아서 울화통이 터질 때 국민들이 그 울분을 달래기 위해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욕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욕'의 역사는 의외로 오래 되었는데, 인간이 말을 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그 사회에는 욕이 존재했다고 한다. 아주 오래 전.. 고구려, 백제, 신라 사람들도 아마 욕이란 걸 했을 것이다.
드라마 <다모>에 나왔던 '우라질' 같은 욕은 '오라질'에서 유래되었단 설이 있다. 여기서 '오라'는 죄인을 잡아갈 때 묶어서 데려가던 밧줄을 뜻한다.(사극엔 "죄인은 어서 나와 오라를 받으라~" 이런 대사도 참 많이 나왔음) '지다'를 원형으로 하는 '질'은 현대어의 '묶다'와 비슷한 개념으로, '오라질=우라질'은 '밧줄에 묶일 놈 or 오라를 받을 놈'의 의미를 지니는 욕이라 할 수 있다.
TV극 <다모> 좌포청 백부장이 자주 내뱉었던 '이런, 우라질~' 같은 욕은 그리 심해 보이지 않으면서, 시대 상황 & 해당 캐릭터의 직업에 잘 들어맞는 욕이라 할 수 있다. 그 정도 욕은 시청자 입장에서도 구수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만한 수준이다. 현대 뿐만이 아니라 삼국 시대, 고려 & 조선 시대 때에도 나름의 '욕'이 존재했다고 하니 그 시기 극을 쓰는 이들은 크게 민망하지 않은 선에서 시대 고증에 맞는 '수위 낮은 욕' 정도는 조금씩 섞어줘도 괜찮을 것 같다. 특히 (해당 극 속에서의) 등장 인물들이 상대편과 치열한 '전투'를 벌일 때, 막 욕하면서 덤벼들면 어쩐지 '사실감' 있게 느껴질 듯...
하지만 경우에 따라선(정말 미칠 정도로 열 받았을 때) 욕이 필요할 때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나마 '말'로 욕이라도 하니까, 선을 넘어서서는 안되는 그 이상의 과격한 '행동'을 안하게 되는 것 아닐까..? 다만.. 그럴 경우, 그냥 혼자서만 조용히 욕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아님, 그를 좋게 봤던 주변인들에게 혐오감을 주거나 큰 충격을 선사할 수도 있을테니 말이다..
한 때 어떤 유명인이 대놓고 10원 짜리 욕을 하는 모습이 방송 카메라에 찍힌 적 있는데, 그걸 보구서 그 사람에 대해 가졌던 이미지가 와르르 무너져 내리는 느낌을 받았다. '와~ 그렇게 안 봤는데, 사람 완전 천박해 보이고 별로다~' 이런 느낌? 정말 참기 힘들 때 혼자 조용히 '순화된 욕' 정도나 하면 모를까, 타인에게 대놓고 심한 욕을 하는 건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순화(?)된 욕이란 : "A, 2 십장생~ 열 여덟 순정! 시베리아 벌판에서 귤이나 까라~" 뭐, 이런 거? 비교적 악의 없는 친근한 욕으로 "칫, 바보~" 같은 것도 있다. 말로 하지 않고, 자판으로 칠 때는 보통 "#@?*&%$한 놈 같으니라고~ or "이 xxx 같은"... 이런 표현을 쓰곤 한다.
예전에 본 몇몇 한국 영화에서 '등장 인물'들이 (안방 극장용 TV 드라마에선 절대 허용 불가능한) 저속한 '욕'을 마구마구 해대길래 좀 불편하단 느낌을 받았는데, 그 시기엔 꽤나 문화적 충격이라 느껴졌었다. 멀쩡한 배우들이 듣기만 해도 민망한 10원 짜리 욕을 막 뱉어내니 말이다.
그나마 '안방 극장'용으로 가능한 수위 낮은 욕에 '우라질' 류가 있는데, 2003년도 폐인 드라마 <다모>에서 백부장(이한위) 캐릭터가 '이런, 우라질~'을 달고 살았던 것 같다. 우리 나라 사극엔 '염병할~'같은 욕도 자주 나온다. '염병할'에 나오는 '염병'은 치사율 높았던 전염병 장티푸스를 뜻하는데, 주로 상대방을 '염병 걸려 죽을 놈' 식으로 심히 질타하거나 일이 제뜻대로 안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욕의 사용은 우리가 다 알고 있다시피 '부정적인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특정인을 저주하거나 비방하고 무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요즘엔, 사회 지도층이 정치를 잘 못하거나 우리 주변을 둘러싼 환경이 좋지 않아서 울화통이 터질 때 국민들이 그 울분을 달래기 위해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욕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욕'의 역사는 의외로 오래 되었는데, 인간이 말을 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그 사회에는 욕이 존재했다고 한다. 아주 오래 전.. 고구려, 백제, 신라 사람들도 아마 욕이란 걸 했을 것이다.
드라마 <다모>에 나왔던 '우라질' 같은 욕은 '오라질'에서 유래되었단 설이 있다. 여기서 '오라'는 죄인을 잡아갈 때 묶어서 데려가던 밧줄을 뜻한다.(사극엔 "죄인은 어서 나와 오라를 받으라~" 이런 대사도 참 많이 나왔음) '지다'를 원형으로 하는 '질'은 현대어의 '묶다'와 비슷한 개념으로, '오라질=우라질'은 '밧줄에 묶일 놈 or 오라를 받을 놈'의 의미를 지니는 욕이라 할 수 있다.
TV극 <다모> 좌포청 백부장이 자주 내뱉었던 '이런, 우라질~' 같은 욕은 그리 심해 보이지 않으면서, 시대 상황 & 해당 캐릭터의 직업에 잘 들어맞는 욕이라 할 수 있다. 그 정도 욕은 시청자 입장에서도 구수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만한 수준이다. 현대 뿐만이 아니라 삼국 시대, 고려 & 조선 시대 때에도 나름의 '욕'이 존재했다고 하니 그 시기 극을 쓰는 이들은 크게 민망하지 않은 선에서 시대 고증에 맞는 '수위 낮은 욕' 정도는 조금씩 섞어줘도 괜찮을 것 같다. 특히 (해당 극 속에서의) 등장 인물들이 상대편과 치열한 '전투'를 벌일 때, 막 욕하면서 덤벼들면 어쩐지 '사실감' 있게 느껴질 듯...